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196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라운드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에서 9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의 승자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고, 최종 라운드에서 3개 팀이 풀 리그를 통해 멕시코가 본선에 진출했다. 1차 예선에서는 자메이카, 코스타리카, 멕시코가 각각 조 1위를 차지했고, 최종 예선에서 멕시코가 3승 1무의 성적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 196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96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32개 팀이 9개 조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쟁하여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1조와 9조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진출팀을 가렸고, 에우제비우가 7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 196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6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월드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과정에서 아프리카 팀들의 기권과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결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하는 이변을 낳았다. -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199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199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23개 팀이 참가하여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진행되었으며, 멕시코가 본선에 직행하고 캐나다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 위해 카리브, 중앙 아메리카 지역 예선을 거쳐 최종 예선을 치렀다. -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197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197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197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하여 멕시코에서 개최되었고, 멕시코가 우승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
연도 | 1966년 |
기간 | 1965년 2월 28일 - 1965년 5월 22일 |
참가 팀 수 | 9 |
축구 연맹 | 1 |
경기 수 | 24 |
총 득점 | 68 |
총 관중 | 370238 |
최고 득점자 | 이시도로 디아스 (5골) |
이전 대회 | 1962년 |
다음 대회 | 1970년 |
FIFA 남자 선수권 대회 예선 (CONCACAF) | |
확장 | FIFA |
2. 예선 형식
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다음과 같이 2라운드로 진행되었다.
- '''1라운드''': 9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각 조별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승자는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 '''최종 라운드''': 3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렀다.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3. 1차 예선
1차 예선은 3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조
날짜 | 경기 | 결과 |
---|---|---|
1965년 2월 28일 | 온두라스 : 멕시코 | 0 - 1 [1] |
1965년 3월 4일 | 멕시코 : 온두라스 | 3 - 0 |
1965년 3월 7일 | 미국 : 멕시코 | 2 - 2 |
1965년 3월 12일 | 멕시코 : 미국 | 2 - 0 |
1965년 3월 17일 | 온두라스 : 미국 | 0 - 1 |
1965년 3월 21일 | 미국 : 온두라스 | 1 - 1 [1] |
2조(하위 섹션 '2조'와 동일한 내용이므로 삭제)
3조(하위 섹션 '3조'와 동일한 내용이므로 삭제)
3. 1. 1조
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1조에서는 '''자메이카'''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였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자메이카 | 4 | 2 | 1 | 1 | 5 | 2 | +3 | 5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4 | 1 | 2 | 1 | 2 | 3 | -1 | 4 |
쿠바 | 4 | 1 | 1 | 2 | 3 | 5 | -2 | 3 |
상세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1965년 1월 16일 | 자메이카 | 2 – 0 | 쿠바 | 킹스턴, 자메이카 | 10,100 |
1965년 1월 20일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1 – 1 | 쿠바 | 킹스턴, 자메이카[2] | 4,005 |
1965년 1월 23일 | 자메이카 | 2 – 0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킹스턴, 자메이카 | 12,264 |
1965년 1월 30일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1 – 0 | 쿠바 | 아바나, 쿠바 | 3,040 |
1965년 2월 3일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0 – 0 | 자메이카 | 아바나, 쿠바[2] | 1,218 |
1965년 2월 7일 | 쿠바 | 2 – 1 | 자메이카 | 아바나, 쿠바 | 1,176 |
3. 2. 2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style="text-align:left;" | | 4 | 4 | 0 | 0 | 9 | 1 | +8 | 8 |
style="text-align:left;" | | 4 | 1 | 0 | 3 | 8 | 9 | -1 | 2 |
style="text-align:left;" | | 4 | 1 | 0 | 3 | 5 | 12 | -7 | 2 |
코스타리카한국어가 4전 전승으로 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수리남|1959한국어과 트리니다드 토바고한국어는 각각 1승 3패, 승점 2점으로 탈락하였다.
- 1965년 2월 7일, 포트오브스페인: 트리니다드 토바고한국어 4 - 1 수리남|1959한국어
- 1965년 2월 12일, 산호세: 코스타리카|1964한국어 1 - 0 수리남|1959한국어
- 1965년 2월 21일, 산호세: 코스타리카|1964한국어 4 - 0 트리니다드 토바고한국어
- 1965년 2월 28일, 파라마리보: 수리남|1959한국어 1 - 3 코스타리카|1964한국어
- 1965년 3월 7일, 포트오브스페인: 트리니다드 토바고한국어 0 - 1 코스타리카|1964한국어
- 1965년 3월 14일, 파라마리보: 수리남|1959한국어 6 - 1 트리니다드 토바고한국어
3. 3. 3조
- ---
날짜 | 경기 | 결과 | 경기장 |
---|---|---|---|
1965년 2월 25일 | 온두라스 : 멕시코 | 0 - 1 | 산페드로술라 |
1965년 3월 4일 | 멕시코 : 온두라스 | 3 - 0 | 멕시코시티 |
1965년 3월 7일 | 미국 : 멕시코 | 2 - 2 | 로스앤젤레스 |
1965년 3월 12일 | 멕시코 : 미국 | 2 - 0 | 멕시코시티 |
1965년 3월 17일 | 온두라스 : 미국 | 0 - 1 | 산페드로술라 |
1965년 3월 21일 | 미국 : 온두라스 | 1 - 1 | 테구시갈파 |
- ---
날짜 | 경기 | 결과 | 경기장 | 비고 |
---|---|---|---|---|
1965년 4월 25일 | 코스타리카 : 멕시코 | 0 - 0 | 산호세 | |
1965년 5월 3일 | 자메이카 : 멕시코 | 2 - 3 | 킹스턴 | 멕시코: 아론 파디야 구티에레스, 에르네스토 시스네로스, 이그나시오 자우레기 득점 자메이카: 애셔 웰치, 바틀렛 득점 |
1965년 5월 7일 | 멕시코 : 자메이카 | 8 - 0 | 멕시코 시티 | 멕시코: 에르네스토 시스네로스(2골), 하비에르 프라고소(2골), 이시도로 디아스(3골), 아론 파디야 구티에레스 득점 |
1965년 5월 11일 | 코스타리카 : 자메이카 | 7 - 0 | 산호세 | 코스타리카: 페르난도 히메네스, 에롤 다니엘스(2골), 윌리엄 키로스(3골), 레오넬 에르난데스 득점 |
1965년 5월 16일 | 멕시코 : 코스타리카 | 1 - 0 | 멕시코 시티 | 멕시코: 에르네스토 시스네로스 득점 |
1965년 5월 22일 | 자메이카 : 코스타리카 | 1 - 1 | 킹스턴 | 자메이카: 아트 웰치 득점, 코스타리카: 에롤 다니엘스 득점 |
최종 결과, '''멕시코'''가 본선에 진출했다.
4. 최종 예선
;경기 결과
- 1965년 4월 25일, 산호세: 코스타리카 0 – 0 멕시코[1]
- 1965년 5월 3일, 킹스턴: 자메이카 2 – 3 멕시코[2]
- 1965년 5월 7일, 멕시코시티: 멕시코 8 – 0 자메이카
- 1965년 5월 11일, 산호세: 코스타리카 7 – 0 자메이카
- 1965년 5월 16일, 멕시코시티: 멕시코 1 – 0 코스타리카
- 1965년 5월 22일, 킹스턴: 자메이카 1 – 1 코스타리카
최종 예선 결과 '''멕시코'''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5. 주요 선수
득점 | 선수 | 국가 |
---|---|---|
5골 | 이시도로 디아스 | Isidoro Díaz|이시도로 디아스es |
4골 | 에롤 다니엘스 | Errol Daniels|에롤 다니엘스영어 |
레오넬 에르난데스 | Leonel Hernández|레오넬 에르난데스es | |
에르네스토 시스네로스 | Ernesto Cisneros|에르네스토 시스네로스es | |
3골 | 에드가르 마린 | Édgar Marín|에드가르 마린es |
윌리엄 키로스 | William Quirós|윌리엄 키로스es | |
라스셀스 던클리 | Lascelles Dunkley|라스셀스 던클리영어 | |
지크프리트 할트만 | Siegfried Haltman|지크프리트 할트만nl | |
2골 | 호세 루이스 곤잘레스 다빌라 | José Luis González Dávila|호세 루이스 곤잘레스 다빌라es |
하비에르 프라고사 | Javier Fragoso|하비에르 프라고사es | |
아론 파디야 구티에레스 | Aarón Padilla Gutiérrez|아론 파디야 구티에레스es | |
살바도르 레예스 몬테온 | Salvador Reyes Monteón|살바도르 레예스 몬테온es | |
비르힐리오 실레 | Virgilio Sillé|비르힐리오 실레nl | |
스탠리 험버트 크렌텐 | Stanley Humbert Krenten|스탠리 험버트 크렌텐nl | |
에드먼드 워터발 | Edmund Waterval|에드먼드 워터발nl | |
앤디 알레옹 | Andy Aleong|앤디 알레옹영어 | |
에드 머피 | Ed Murphy|에드 머피영어 | |
1골 | 페르난도 히메네스 | Fernando Jiménez|페르난도 히메네스es |
타르시시오 로드리게스 비케스 | Tarcisio Rodríguez Viquez|타르시시오 로드리게스 비케스es | |
후안 곤잘레스 소토 | Juan González Soto|후안 곤잘레스 소토es | |
니콜라스 마르티네스 | Nicolás Martínez|니콜라스 마르티네스es | |
앙헬 피에드라 | Ángel Piedra|앙헬 피에드라es | |
안토니오 도스 산토스 | Antonio Dos Santos|안토니오 도스 산토스es | |
호세 리카르도 테일러 | José Ricardo Taylor|호세 리카르도 테일러es | |
시드 바틀렛 | Syd Bartlett|시드 바틀렛영어 | |
오스카 블랙 | Oscar Black|오스카 블랙영어 | |
패트릭 블레어 | Patrick Blair|패트릭 블레어영어 | |
아트 웰치 | Art Welch|아트 웰치영어 | |
아셔 웰치 | Asher Welch|아셔 웰치영어 | |
호세 루이스 아우신 | José Luis Aussín|호세 루이스 아우신es | |
이그나시오 하우레기 | Ignacio Jáuregui|이그나시오 하우레기es | |
라미로 나바로 | Ramiro Navarro|라미로 나바로es | |
케네스 클루이버트 | Kenneth Kluivert|케네스 클루이버트nl | |
앨빈 코르넬 | Alvin Corneal|앨빈 코르넬영어 | |
제프 젤리노 | Jeff Gellineau|제프 젤리노영어 | |
바비 수크람 | Bobby Sookram|바비 수크람영어 | |
헬무트 비체크 | Helmut Bicek|헬무트 비체크영어 | |
월트 슈모톨로차 | Walt Schmotolocha|월트 슈모톨로차영어 |
참조
[1]
문서
This match was played in Honduras instead of in the United States.
[2]
문서
Netherlands Antilles' games were all played aw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